Hyeyoung Song, Pianist

May 26, 2023

Song to be inducted into Steinway & Sons Teacher Hall of Fame

Filed under: News — admin @ 10:30 am

  • By Crystal Woerly Special Contributor
  • May 26, 2023
Hyeyoung Song
Hyeyoung Song, master pianist and artist-in-residence at Weatherford College, has been selected for induction to the Steinway & Sons Teacher Hall of Fame.Courtesy | Weatherford College

    

Dr. Hyeyoung Song, master pianist and artist-in-residence at Weatherford College, has been selected for induction to the Steinway & Sons Teacher Hall of Fame. The honor recognizes piano teachers for their commitment and passion for piano education.

“Your passionate commitment to teaching and inspiring young people in their study of piano music is commendable and rare,” wrote Gavin English, president of Steinway & Sons America in a letter to Song. “Through your efforts, you help students lay the foundation for a lifetime of musical and artistic expression.”

She is invited to attend an early October induction ceremony at the historic New York Steinway factory. Former award recipient Dr. Richard Fountain from Wayland Baptist University said winners are treated like royalty on their visit.

Song is an active performer who has concertized extensively throughout the United States, Europe and Asia. She has worked at WC since 2007 and is the creator of the Weatherford College International Piano Competition.

https://www.weatherforddemocrat.com/news/song-to-be-inducted-into-steinway-sons-teacher-hall-of-fame/article_6e8bd068-fb46-11ed-8968-5f742dc57fd0.html

March 1, 2018

‘Duo Azul’ to perform in Memorial Hall Feb. 15

Filed under: News — admin @ 11:10 am

‘Duo Azul’ to perform in Memorial Hall Feb. 15

Posted on February 12, 2018

Duo Azul, made up of American pianist Amy E. Gustafson and Korean pianist Hyeyoung Song, will offer a concert entitled “Journey through the Spiritual Realm” at Erskine College Thursday, Feb. 15, at 7 p.m. in Memorial Hall. The program will include works by Bach, Saint-Saens, Gounod, Liszt, and Rubinstein.

Duo Azul’s performances feature the four-hand and two-hand piano repertoire. Gustafson and Song met in Austin, Texas while both were completing doctoral degrees at the University of Texas. The Duo’s first performances were in 2010 in Texas, and they have performed together frequently ever since.

Amy Gustafson is the daughter of Erskine President Dr. Robert Gustafson and his wife Marjorie Graham Gustafson. She studied at the Manhattan School of Music, New York University, and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and has performed across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She has won numerous awards, including second prize in the International Young Artists Piano Competition. In addition to her performing career, she serves as teaching artist at Bloomingdale School of Music in New York City, executive director of the Gijón International Piano Festival, and vice president and treasurer of the Spanish American Music Council.

Hyeyoung Song has performed extensively throughout the States and Korea. She has won the top prizes in competitions including the Janice K. Hodges Contemporary Piano Competition, the International Chopin Piano Competition in Corpus Christi, Texas, the Sydney Wright Accompanying Competition, and the Ewha University Concerto Competition. The recipient of a Teaching Excellence Award from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she has been invited to present recitals and master classes at many universities and music festivals. She serves as artist in residence at Weatherford College in Texas.

For more information on Duo Azul, please visit www.duoazul.com.

http://news.erskine.edu/duo-azul-to-perform-in-memorial-hall-feb-15/

February 23, 2018

‘Duo Azul’ to perform in Memorial Hall Feb. 15

Filed under: News — admin @ 4:52 pm

‘Duo Azul’ to perform in Memorial Hall Feb. 15

Posted on February 12, 2018

Duo Azul, made up of American pianist Amy E. Gustafson and Korean pianist Hyeyoung Song, will offer a concert entitled “Journey through the Spiritual Realm” at Erskine College Thursday, Feb. 15, at 7 p.m. in Memorial Hall. The program will include works by Bach, Saint-Saens, Gounod, Liszt, and Rubinstein.

Duo Azul’s performances feature the four-hand and two-hand piano repertoire. Gustafson and Song met in Austin, Texas while both were completing doctoral degrees at the University of Texas. The Duo’s first performances were in 2010 in Texas, and they have performed together frequently ever since.

Amy Gustafson is the daughter of Erskine President Dr. Robert Gustafson and his wife Marjorie Graham Gustafson. She studied at the Manhattan School of Music, New York University, and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and has performed across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She has won numerous awards, including second prize in the International Young Artists Piano Competition. In addition to her performing career, she serves as teaching artist at Bloomingdale School of Music in New York City, executive director of the Gijón International Piano Festival, and vice president and treasurer of the Spanish American Music Council.

Hyeyoung Song has performed extensively throughout the States and Korea. She has won the top prizes in competitions including the Janice K. Hodges Contemporary Piano Competition, the International Chopin Piano Competition in Corpus Christi, Texas, the Sydney Wright Accompanying Competition, and the Ewha University Concerto Competition. The recipient of a Teaching Excellence Award from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she has been invited to present recitals and master classes at many universities and music festivals. She serves as artist in residence at Weatherford College in Texas.

For more information on Duo Azul, please visit www.duoazul.com.

http://news.erskine.edu/duo-azul-to-perform-in-memorial-hall-feb-15/

July 28, 2017

[7.21.2017] 만남의 축복, 스승의 음성을 따라

Filed under: Column — admin @ 10:58 am

B037

피아니스트 송혜영의 음악 에세이 

만남의 축복, 스승의 음성을 따라 

음악인의 길을 걷는다는 것은 끝없는 만남과 인연의 축복이다. 스승과의 인연, 제자와의 인연, 동료와의 인연, 청중과의 인연…그 소중함과 신비스러움을 체험하는 여정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가장 필요할 때 가장 좋은 스승을 만나는 복을 누려온 삶에 감사드릴 때 마다, 늘 나와 함께 하는 그 분들의 음성이 귓전 가득히 울려 퍼진다. 

“대가가 되어라.” 

중학교 시절 교과서에 없는 클래식 명곡들을 즐겨 가르치시던 음악 선생님께서는 어느 날 베르디의 오페라의 한곡을 들려 주셨다. 그 숭고한 울림에 모두의 호흡이 잠잠해 질 때 쯤 나즈막히 중얼거리시던 한 마디.  “이렇게 아름다운 음악을 사람들이 들을 수만 있다면 이 세상에 전쟁과 분쟁은 일어나지 않을텐데…” 시간이 멈춘 것 같던그 순간부터 음악은 내게 돌이킬 수 없는 소명이 되었고 운명이 되었다. 선생님은 늘  “넌 대가다. 대가에게 배워라. 대가가 되어라.”고 하시며 마치 미래를 미리 알고 계신 듯 여중생 제자를 예술가로서 극진히 대우하셨다. 그시절의 꿈을 지금까지 지키며 살아 올 수 있었던 것은, 예나 지금이나 한결같은 믿음으로 지켜 봐 주시는 스승이계셨기 때문이었다.    

“너에게 놀랄만한 좋은 일이 일어날 거야.” 

미국 유학을 떠나기 전 선생님께 인사를 드리러 찾아 뵙던 날, 시내에는 교통이 마비되는 큰 폭우가 내렸다. 평소점쟎으신 선생님께서 어디서 그런 흥이 나셨던 것일까. 시간도 공간도 느껴지지 않을 만큼 막막하던 길 위에서 선생님은 오페라의 한 대목이라도 부르듯 목청껏 반복해 외치셨다. “비 한 번 멋있게 오는구나. 잘 될 거다, 잘 될거야. 너에게 놀랄만한 좋은 일들이 일어날거야.” 유학 떠나는 제자에게 천둥보다 번개보다 뜨거운 믿음과 용기를심어주신 스승의 마음. 인생의 세찬 비를 만날 때마다 폭풍을 뚫고 날 일으켜 세우던 그 음성이 함께 울릴 것이다. 

“내 평생 오늘처럼 박수를 많이 쳐 본 적이 없다.” 

나의 미국유학은 운명처럼 이루어졌다.대학원을 졸업을 앞둔 학기, 학교를 방문하신 미국 교수님께 장학생으로발탁되었고, 평소 제자들의 미래에 관한 한 자율적으로 결정하게 두시는 지도교수님께서 나에게만은 유학을 절대적으로 권유하시며 모든 절차를 손수 추진해 주신 것이었다. 그렇게 긴 세월을 미국에서 활동하다 작년 한국의한 대학의 초청독주회로 다시 선생님 앞에 서게 되었을 때, 대수술 후 부축을 받고 찾아오신 선생님은 당신 평생이렇게 박수를 많이 쳐 본적이 없다고 하시며 어린아이처럼 나를 안고  기뻐하셨다. 제자를 직접 넓은 세계로 날려 보내셨던 은사님 앞에 다시 돌아와 당신의 옛 드레스를 입고 무대에 올랐던 그 날 밤, 내게는 좀처럼 눈물이 그치지 않았다. 

“넌 분명 훌륭한 엄마가 될 거야.”   

텍사스 주립대 박사 과정 시절, 학생을 가르치는 나의 수업을 평가하시던 교수님께서는 문득 날 불러 세우시며 이렇게 말씀하셨다. 말씀을 마치고도 한 동안 내 얼굴을 떠나지 않던 그 눈빛은 말보다 더 큰 확신과 용기를 담고 계셨다. 매 학기 가장 많은 우수 학생을 배출하고 내 클라스 전체를 우수학생으로 선발되게 하는 기록을 남기면서, 이것은 이전에도 없었고 앞으로도 없을 일이라고 아낌 없는 찬사로 나를 지지해 주시던 분이었다. 선생님이 내게심어주신 교육자로서의 신뢰와 확신은 실제로 내 삶에 음악 교육에 대한 한계를 무너뜨렸다. 세 살 아이도, 여든살 노인도, 장애인도, 수감자도 모두 나의 제자이자 스승이었다. 감옥에서 가르치던 한 수감자는 “십 년의 감옥 생활 중 당신의 수업이 내게 한 줄기 신선한 바람이었습니다.” 라는 쪽지를 내게 건네 주기도 했다. 한 사람에게 음악을 가르치는 일이 인류에 생명을 탄생시키는 일이라는 스승과의 약속이 살아 있는 한 이 길은 계속 될 것이다.  

내 어머니가 즐겨 부르시던 슈베르트의 가곡 ‘보리수’는 전쟁의 상흔이 그대로 남겨진 시골 어린이들을 위해 바이올린을 연주하고 클래식 가곡을 가르치던 한 선생님이 남기신 것이었다. 나의 은사님은 당신의 어머니께 직접피아노를 배우셨는데, 그 뒤에는 문명을 막 받아들이기 시작한 한국의 소녀에게 레셰티츠키 정통주법으로 피아노를 가르치신 한 선교사님이 계셨다. 시공을 뛰어 넘어 그 분들의 음악과 정신이 오늘 내 손끝에 흐르고 있음을생각할 때 한 없이 겸허해 질 수 밖에 없다.  

이제 선생님과 같은 음악가가 되고 싶다고 눈망울을 반짝거리며 내 앞에 선 학생들 앞에 나는 다시 기억한다. 당신의 존재를 다 나누어 주고도 부디 자기 자신이 되어라 당부하셨던 스승의 음성을, 제자의 무대  뒤에서 나는 아무 공이 없다 고개 저으시던 그 마음을… 

글 송혜영 

July 11, 2017

[6.30.2017] 제 15회 반클라이번 국제 피아노 콩쿨의 막을 내리며 “새로운 4년의 기대와 설레임으로”

Filed under: Column — admin @ 11:33 am

 

B041

제 15회 반클라이번 국제 피아노 콩쿨의 막을 내리며
“새로운 4년의 기대와 설레임으로”

클라이번의 이름
반 클라이번(Van Cliburn, 1934~2013) 은 1958년 소련 자국의 문화적 우수성을 과시하고자 개최한 제 1회 차이코프스키 콩쿨에서 우승한 미국 피아니스트이다. 이념의 갈등이 깊어 가던 냉전시대 스물 세 살 미국 청년의 우승은 당시 문제의식에 빠져있던 미국의 문화적 자존심을 크게 높여 준 사건이었다. 이 후 반클라이번은 음악이 사상의 차이나 정치적 구도를 극복할 수 있다는 평화와 희망을 의미하는 이름이 되었다. 그를 사랑하는 이들에 의해 자발적으로 만들어진 반클라이번협회는 1962년부터 포트워스에서 4년마다 반클라이번 국제 콩쿨을 개최하며 재능있는 젊은 피아니스트를 발굴해 후원하고 있다.

클라이번의 한국
클라이번 콩쿨 역사상 한국 피아니스트들의 활약이 이렇게 두드러진 적은 없었다. 총 30명의 참가자 중 5명의 한국연주가가 초청되고 그 중 3명이 준결선에 올라 첫 한국인 우승자가 나오기까지, 이 급격하고도 놀랄만한 쾌거는 결코 하루 아침에 이루어진 일은 아닐 것이다. 2005년 양희원 양에 이어 2009년 손열음 양의 준우승은 클라이번 역사에 한국 피아니스트의 기상을 새긴 귀한 수상이었다.
지난 시상식에서 심사위원 특별상 수상자로 김다솔 군의 이름이 불리우던 순간, 좌중은 잠시의 적막과 함께 공감의 웅성거림으로 가득했다. 비록 결선에 오르지 못했지만 이미 김다솔이라는 이름은 그가 남긴 감동을 떠오르게 하는 강력한 주문이 되어 버린듯 했다. 빛나는 재능과 더불어 겸손하고 발전적인 자세를 보여준 김홍기 군의 미래도 굳게 기대하고 있다. 이 곳 언론은 한국의 음악교육을 주목하라, 한국 피아니스트에게 우승이 돌아갔다 등의 들뜬 목소리로 헤드라인을 장식했다.배스홀 높히 게양되어 있던 태극기가 그 어느 때 보다 환한 빛을 비추던 현장이었다.

클라이번의 문
세 번의 독주회와 실내악, 두 번의 협주곡을 치뤄야 하는 긴 마라톤의 관문 중에서도 특히 모짜르트 협주곡과 실내악은 연주자들 간의 적나라한 비교와 경쟁이 불가피하던 무대였다. 독주에서 두각을 나타내었던 연주자가 실내악에서 기대에 미치지 못하거나, 그 반대의 경우도 있는 것이 당연한 일이다. 한편 선우예권 군은 모든 라운드에서 굴곡없이 훌륭한 연주를 들려 주었다. 다양한 음악적 면모를 드러내는 프로그램 구성도 명쾌했고 현악기에 생기를 불어 넣는 실내악 연주는 탁월했다. 재능과 더불어 겸손과 깊은 성찰력을 겸비한 그에게 클라이번이 더 넓은 음악적 세계로의 열린 문이 되어 주리라는 것을 확신한다. 클라이번의 가치와 기대를 빛낼 훌륭한 우승자를 선택해 낸 심사위원들에게도 축하의 박수를 보내며…

클라이번의 유산
마지막 연주를 마친 케네스 브로버그의 뺨을 자랑스럽게 어루만지는 스승은 11 회 클라이번 우승자 스타니슬라프 유데니치이다. 브로버그의 창조적 보이싱, 빛을 섞어 제조한 듯한 음색, 감성과 타성에 잠식되지 않는 꿈틀거리는 창조자적 시선은 20 여년 전 유데니치의 연주와 놀랍도록 닮아 있다.
심사위원특별상을 수상한 레오나르도 피에르도메니코의 스승이 8회 동메달 입상자 베네데토 루포라는 사실을 뒤늦게 알았을 때, 비로소 그의 특별하고 아름다운 음색의 비밀이 풀리는 느낌이었다. 자신을 위해서가 아니라 오직 음악을 위해 연주하는 피아니스트가 되고 싶다던 젊은 시절의 루포. 비록 메달을 받지 못했지만 오직 음악을 위해서 연주한 제자를 자랑스러워 할 그의 모습이 생생히 겹쳐졌다. 누군가에게서 누군가에게로 전해지는 음악, 세대를 거쳐 전달되는 따뜻함의 유산들이 클라이번이라는 바다로 함께 흘러가고 있다.

프레스룸에서
결선을 앞두고 유럽과 타주에서 모여든 취재진들과 비평가들로 붐비는 클라이번의 프레스룸에는 팽팽한 긴장감이 흐른다. 그 곳은 한국 젊은이들의 월등한 재능에 비해 우리의 관심과 후원이 부족한 현실을 직접적으로 느낄 수 있는 공간이기도 하다. 그 미안한 마음과 자긍심으로 유일한 한국 관계자로서 끝까지 함께 했고 감격스러운 피날레까지 선물 받았다.
심사위원의 마음을 가졌거나 그렇지 못 했거나, 눈물을 흐르게 하고 심장을 뛰게 한 모든 피아니스트들에게 진심어린 감사와 행운을 보낸다. 그대들에게 과감한 음악적 탐사가 주어지기를, 음악과 삶이 함께 무르익는 시절을 만끽하기를…새로운 4년의 기대와 설레임은 이미 시작되었다.

글 송혜영
피아니스트, 음악박사

 

 

 

June 24, 2017

The 15th Van Cliburn International Piano Competition

Filed under: News — admin @ 6:23 pm

It was a joyful experience that I could be a part of the 15th Van Cliburn Piano Competition as a critic and press member. Congratulations to all the wonderful young pianists! 

KakaoTalk_Photo_2017-06-01-09-01-06_51 18839818_1444046592319901_7084596408268359384_o   19388345_1256944834427974_7692471190478589323_o   KakaoTalk_Photo_2017-06-15-09-37-53_90

   

 

Interview with Yekwon Sunwoo, the 15th Van Cliburn International Piano Competition Gold Medalist

Hyeyoung Song(HS): Please share with us your thoughts as the winner of the 15th Van Cliburn Competition.
Yekwon Sunwoo(YS): The physical endurance was a challenge and at times time would pass excruciatingly slowly. But I am thankful that I was able to finish strong and grateful to all the people who stood by me until the end.

HS: During this competition, was there a particular piece you were most satisfied with and least satisfied?
YS: Honestly, I think that there is always an area you wish you could have done differently in a performance. The job of a performer is to perform their very best and the process in which making the best performance is what brings happiness. Even though it is short, Schubert-Liszt’s Litanei auf des Fest Aller Seelen is one of the pieces that felt special to me while I was performing it.

HS: As the winner of the competition, you will probably become very busy. What changes do you think this will bring for you?
YS: I had better continue to perform my very best by working hard and avoiding laziness. It still hasn’t hit me that I am the winner of the competition….however, it is my dream to be a musician that always advances and matures, so I will do my best.

HS: In your lifetime, is there a certain piece that you would like to leave a recording of?
YS: Since Schubert is a composer that is very dear to me, I would like to record his late sonatas. There are so many, it’s hard for me to even choose one.

HS: You are the first South Korean to win the Van Cliburn Competition…could you say something to your fans and the young musicians back at home?
YS: Thank you to everyone who supported me and cheered me on. And I am thankful for those who always showed interest even with my shortcomings. I’m sure all performers feel this way since there is no such thing as a perfect performer. I believe there is always room for improvement and I will always try my best to move people’s hearts with my music. I’m grateful for your continued support.

Congratulations!

Interview by Hyeyoung Song

선우예권 반클라이번 콩쿨 우승 현장 인터뷰

송혜영(이하 송):제 15회 반 클라이번 콩쿨에서 우승하신 소감을 말씀해 주세요.
선우예권(이하 선우):짧은 시간들이 길게 느껴 질 정도로 체력적으로 지치기도 했는데요. 잘 마쳐서 감사하고, 지켜 봐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합니다.

송: 이번 콩쿨의 곡 중 에서 본인이 가장 만족했던 곡은 무엇이고 가장 아쉬움이 남았던 곡이 있다면.
선우: 사실 연주에는 항상 아쉬움이 조금씩 있는 것 같아요. 연주자의 직업이라는 것이 최상의 연주를 하기 위해서 계속 살아 가고 그 과정을 통해 행복을 느끼는 것이니까요. 제가 특별하게 생각하는 곡 중의 하나가 슈베르트 가곡 리타나이(Schubert-Liszt, Litanei auf des Fest Aller Seelen) 를 좋아하는데 짧은 곡이지만 연주 때에도 특별하게 다가왔습니다.

송: 우승자에게 주어지는 연주무대로 앞으로 무척 바빠지실텐데 어떤 변화가 있을 거라고 생각을 하시는지
선우: 다가오는 연주들을 최상의 조건들로 좋은 연주를 해야겠지요. 게을리 하지 않고 열심히 좋은 연주를 들려드리도록 해야 할 것 같아요. 아직은 우승했다는 실감이 나지 않는데…항상 발전하고 성숙해지는 진실한 음악가가 되는 것이 제 꿈이기 때문에 열심히 하겠습니다.

송: 본인이 일생을 통해서 꼭 남기고 싶은 레코딩이 있다면
선우: 소중하게 생각하는 작곡가는 슈베르트이기 때문에 슈베르트 소나타 후기 작품들을 남겨 보고 싶은데 그것은 너무 이른 것 같기도 하구요. 너무 많아서 하나만 고르기는 힘드네요.

송: 반클라이번 우승이라는 한국인으로서 역사적 수상을 하셨는데 고국의 팬들과 어린 음악가들에게 한 말씀 해 주세요.
선우: 응원해 주신 모든 분들께 너무 감사드리고, 부족할 수도 있는 연주를 항상 관심을 주신 분들께 감사드리고 싶어요. 모든 연주자들이 그렇게 느끼겠지만 완전한 연주는 없기 때문에 늘 부족하다 생각하거든요. 가슴에 무언가를 남길 수 있는 연주를 위해 노력하겠고 지켜 봐주시면 좋겠습니다.

축하합니다!

Interview by Hyeyoung Song

 

[제 15회 반클라이번 국제 피아노 콩쿨] “젊은 예술가들을 향한 찬가”

Filed under: Column — admin @ 6:16 pm

19400478_1256945377761253_8072017508801461012_o

제 15회 반클라이번 국제 피아노 콩쿨
“젊은 예술가들을 향한 찬가”

지난 월요일, 반 클라이번 피아노 콩쿨은 여섯 명의 최종 결선진출자를 발표하였다. 6월 10일까지 무대에 오를 피아니스트들은 한국의 선우예권 군과 홍콩의 레이첼 청, 러시아의 유리 페보린과 게오르기 챠이즈, 미국의 다니엘 슈와 케네스 브로버그이다. 아름다왔던 준결선 무대의 주옥같은 순간들과 대회의 이모저모를 전한다.

김다솔(한국)
슈베르트의 마지막 피아노 소나타 D. 960에서 음표 너머 작곡가의 메세지를 전달하는 내면적 표현력이 탁월한 연주를 들려 주었다. 지상에 발 붙힐 곳 없이 떠도는 슈베르트의 보헤미안적 숨결을 따라 부유하는 동시에, 감각에 의존하지 않는 또렷한 의식의 연주. 작곡가가 흠모하며 뿌리내렸던 클래시시즘과 무르익은 로맨티시즘의 숨막히는 대화, 악장 간의 절묘한 대조. 진정성과 측은지심을 담은 음색으로 청중을 울릴 수 있는 음악가, 밝은 앞날을 기대한다.

유통선(중국)
여린 체구에 등을 구부려 앉은 스물 한 살의 이 피아니스트가 있는 곳은 절대고독의 광야이다. 그 곳은 지상의 묵직한 고통도 천사의 콧노래도 가장 가깝게 듣는 곳이다. 자연스럽고 완벽하게 공명된 음색, 강요받거나 주입되지 않은 표현, 피아니스트적 고정관념에서 탈피한 보이싱…지독한 외로움의 댓가로 그에게 주어진 것은 꾸밈없는 자유. 그의 무소르그스키의 ‘전람회의 그림’ 연주는 상상력을 불러 일으키는 음색과 표현과 극도의 자연스러움을 유지한 채 모든 음에 색깔을 부여하고 말하게 하는 능력, 창조적인 원근법적 구성력을 지닌 명연이었다.

김홍기(한국)
특유의 음악적 유연함을 지닌 연주가이다. 유려하고 섬세한 모짜르트 협주곡에서 욕심없이 아름다운 표현과 음색이 빛났다. 뛰어난 테크닉과 사려깊은 섬세함으로 광란적 클라이맥스로 몰아가기 쉬운 칼 바인 소나타에서도 주제의 명징성과 아름다운 음색으로 끝까지 본질에 충실한 연주를 들려 주었다. 섬세한 결의 연주자, 그의 음악이 그 결을 따라 아름답게 꽃 피우길 기원한다.

게오르기 챠이즈(러시아)
음의 울림을 어떻게 배치하느냐에 탁월한 음악가. 모든 연주에서 노래하는 톤과 조화된 화성의 울림이 아름다왔다. 그 중에서도 그의 슈만은 백미. 완숙하고 정제되어 있으며 문학적인 우아함과 생기가 가득찬 연주. 미지의 향수와 동경을 불러 일으키며 잡히지 않을 듯 실체가 보이지 않는 로맨티시즘의 실체를 건져냈다.

선우예권(한국)
과연 진정성과 따뜻함이 살아 있는 감동적인 연주를 펼쳤다. 어떤 곡에서든 작곡가 자신이 되어 버리는 연주가. 그의 연주는 감성과 이성의 완전한 일치점을 지닌 연주가들만이 주는 특별한 안정감을 가지고 있다. 베에토벤 소나타에서는 아름다운 멜로디에 감추어진 작곡가의 치열한 내면적 갈등과 전투를 하나도 놓치지 않고 담아 냈다. 음 하나에 담긴 고통과 환희를 읽어내는 연주에 청중들도 마지막 음이 영원 속으로 사라질 때까지 함께 했다. 주옥같은 순간이었다. 어떤 기교적인 부분조차 잘 친다는 생각보다 아름답다는 생각이 먼저 들게 만드는 연주자. 그래서 그의 스트라우스는 황홀했다. 프로코피에프에서는 풍성한 음악적 어휘력이 발휘되었다. 구조에 대한 비율감도 탁월하다. 아낌없는 찬사를 보낸다.

레오나르도 피에르도메니코(이탈리아)
클라라 하스킬을 연상시키는 영롱함, 단순하고 우아함, 물 흐르듯이 자연스러움을 가진 그의 모짜르트 협주곡 연주. 아무리 작은 소리에서도 왼손 화성의 각 라인이 노래하게 하는 그 투명성이 귀를 의심케 할 정도이다. 숙명적인 오케스트라와 피아노의 조화. 피아노와 오케스트라가 재회하는 순간에 열리는 가슴벅찬 세계. 아름다운 프레이징, 풍만한 테이스트가 돋보이는 연주가이다.

예선부터 감동적인 연주를 들려준 김다솔 군이 여섯 명의 최종결선진출자 명단에 포함되지 않은 것에 대해 많은 음악관계자와 청중들에게 아쉬운 이슈로 떠올랐다. 국가와 기업 차원의 후원과 더불어 음악을 사랑하는 발걸음이 하나 둘 모인다면, 우리의 귀한 재능들이 기회의 문 앞에서 좌절하거나 적어도 정정당당하게 겨룰 수 있는 기회를 빼앗기는 일로부터 이들을 지켜줄 수 있을 것이다.

작곡가 바르톡은 “경쟁(콩쿨)은 경주마를 위한 것이지 예술가를 위한 것이 아니다.” 라는 말을 남겼다.김다솔 군과 김홍기 군은 이제 돌아가 다시 기도하듯 피아노 앞에 앉을 것이다. 선우예권 군은 홀로 무대를 빛내며 훌륭한 연주를 선사하고 있다. 격려와 응원을 받아 마땅한 이 젊은 예술가들의 음악과 앞날을 함께 지켜 봐 주시길.

송혜영
피아니스트, 음악박사
웨더포드 컬리지 Artist in Residence

[제 15회 반클라이번 국제 피아노 콩쿨 우승 기념 인터뷰] 진실과 위로를 남긴 피아니스트 선우예권

Filed under: Column — admin @ 6:15 pm

19388724_1256945437761247_7122516271851202571_o

제 15회 반클라이번 국제 피아노 콩쿨 우승 기념 인터뷰
진실과 위로를 남긴 피아니스트 선우예권
“평화로이 쉬어라, 모든 영혼이여”

지난 6월 10일, 제 15회 반클라이번 국제 피아노 콩쿨에서 선우예권(28) 군이 한국인으로서는 최초로 영예의 금메달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시상식 현장과 전화기 너머 그와 나눈 이야기들.

송혜영(이하 송): 예선부터 모든 연주가 훌륭했지만 타연주자들과 확연히 구별된 실내악 연주에서 우승을 최종장담했다. 그럼에도 1위 호명을 앞둔 순간 만큼은 얼마나 긴장되던지…
선우예권(이하 선우): 음악은 주관적인 것이고 결과는 아무도 모르는 것이라 나 또한 매 순간 떨면서 임했다. 하지만 연주 자체에만 집중하려고 최대한 마인드 콘트롤을 했던 것 같다. 실내악 연주 때 나도 참 행복했다. 워낙 실내악을 좋아하고 마음이 잘 맞는 사람들과 함께 음악을 만드는 재미와 감동이 더 크다. 연주 후 브랜타노 콰르텟에게서 따로 이메일을 받았다. 너무 좋았다고. 아마 앞으로 함께 더 연주를 하게 될 것 같다.

송: 축하한다! 콩쿨을 위한 연주가 아니고 각 라운드마다 완성된 리사이틀을 대접받는 느낌이었다. 프로그램 구성에 있어 중점을 둔 점이 있다면.
선우: 세 번에 걸친 솔로 리사이틀을 연주자 재량으로 자유롭게 짤 수 있었던 것이 좋았다. 실제 리사이틀 프로그램을 짜듯이 하려고 노력을 했었다. 또 최대한 내가 가지고 있는 음악적 아이디어들과 다양한 모습들을 보여 드리려고 신경을 썼다.

송: 아름다운 선율 뒤에 숨겨진 작곡가의 내면적 갈등과 전투를 담아낸 베에토벤 소나타 Op.109 는 감동이었다. 이십 대의 나이에 베에토벤 후기 소나타를 완전한 1인칭 주인공 시점에서 표현해 내는 능력이 놀라왔다. 작곡가와 곡을 배우는 본인만의 방법이 있다면.
선우: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작곡가가 슈베르트인데 아름답고 행복한 선율에서 아픔이 느껴진다. 그래서인지 장조의 밝은 멜로디에서 슬픈 감정이 느껴진다. 베에토벤은 분명하고 확실하게 자신이 원하는 것을 악보에 모두 표기해 놓았기 때문에 그의 의도에 충실하려고 악보를 보고 또 보았다. 그 후에는 느끼는 대로 표현하고자 했다. 청력을 거의 잃어가던 후기에 베에토벤은 복합적인 감정을 많이 느꼈을 것이다. 한 가지 말로 표현 할 수 없는 감정들…나도 매 번 칠 때 마다 감동을 느끼며 친다. 하지만 개인적 감정에 치우치지 않도록 끝까지 악보에 메달리려고 노력했다.

송: 이번 콩쿨에서 스스로 가장 만족스러웠던 곡과 아쉬움이 남는 곡이 있다면.
선우: 연주에는 항상 아쉬움이 조금씩 있는 것 같다. 연주자의 직업이라는 것이 최상의 연주를 하기 위해서 살아 가고 그 과정을 통해 행복을 느끼는 것이니까. 슈베르트 가곡 ‘위령가’ (Litanei auf des Fest Aller Seelen)를 무척 좋아하는데 짧은 곡이지만 연주할 때에도 특별하게 다가왔다.

송: 그렇쟎아도 그 곡을 듣고 눈물을 흘렸다는 지인들이 많다. 그 곡이 본인에게 각별한 이유와, 진한 감동을 전할 수 있었던 비결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
선우: 위령가. 가사만 봐도 와 닿는 곡이다. 음악의 위대함 때문인 것 같다. 슈베르트와 같은 작곡가의 위대함이고. 내가 지향하는 것 또한 순수한 음악 그 자체, 이것 저것 양념을 치지 않은 고상함과 투명함을 간직한 그대로의 음악을 전달하는 것이다. 그 곡을 연주하면서 나 또한 많은 위로를 받고 눈물을 흘릴 때도 있다.

송: 궁극적으로 어떤 음악가가 되고 싶은가. 30년 후에 혹은 사후에 어떤 음악가로 기억되고 싶은가.
선우: 감사하게도 늘 좋은 선생님들을 만났다. 선생님들이 그냥 사람같다는 느낌… 음악가로도 훌륭하시지만 음악에 헌신하고자 음악가가 된 것이 아니라 음악이 그냥 삶이 되어 버리신 분들. 그 분들을 뵈면서 음악의 외양에 신경쓰기 보다는 본질로 들어가서 깊이 있는 감동을 들려주는 음악가가 되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그것이 무슨 감정이든 청중들이 가슴 깊숙히 느낄 수 있는 감동을 가지고 돌아갈 수 있는 연주가가 되면 좋겠다. 또 한 번 느꼈던 감동을 오래 간직하게 하는 그런 연주자가 된다면 행복할 것 같다.

송:모짜르트 콘체르토에서 스승이신 시모어 립킨(작년에 작고)의 카덴짜를 연주했다.
선우: 배운 것도 많았고 내겐 친할아버지 같은 느낌의 분이셨다. 생전에 가장 좋아하는 작곡가로 모짜르트를 꼽으셨었다. 카덴짜 뿐 아니라 2악장을 연주할 때도 단순한 악장인데도 불구하고 복잡미묘한 생각이 들기도 했다. 선생님이 들으셨다면 자랑스럽다 말씀하셨으면 좋겠다.

송: 음악을 포함해서 인생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는 무엇인가.
선우: 진실성. 주위의 친구들과 그런 이야기를 자주 한다. 이것저것에 흔들리지 말고 진실성 가지고 끝까지 음악하자고. 게으르거나 소홀해 지지 말고 진실성을 품고 나아가는 게 제일 중요할 것 같다.

송:스스로 평가하는 피아니스트로서의 강점과 약점은?
선우: 강점은 다양한 레파토리와 연주여행의 스케줄을 소화해 낼 수 있다는 것. 약점은 내 연주를 비판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게 약점이라고 생각된다. 특별히 생각나는 약점은 모르겠다. 생각을 안하고 싶어서 그런지…(웃음)

송: 일생을 통해서 꼭 남기고 싶은 레코딩이 있다면
선우: 가장 소중하게 생각하는 작곡가는 슈베르트이기 때문에 그의 소나타 후기 작품들을 남겨 보고 싶은데 그것은 아직은 너무 이른 것 같기도 하다.

송: 슈베르트가 그토록 각별한 이유는 무엇인가.
선우:그의 음악은 마음으로 바로 다가오는 것 같다. 살다보면 통곡할 때도 있지만 가슴 찡하게 다가오는 무언가에 눈물이 절로 흐를 때도 있지 않은가. 슈베르트에게 그런 느낌을 받고 바로 그 점이 위로가 되는 것 같다. 마음 속에 잔향이 은은하지만 오래 깊게 나는 것 같아서 특별하다.

송: 국제적으로 조명받고 롤모델이 되는 자리에 올랐다. 꿈을 키울 후배 음악가들에게 해주고 싶은 말은.
선우: 아직도 잘 와 닿지는 않지만 후배 연주자들이 나를 보면서 조금이라도 깊이 있는 마음으로 음악을 대한다면 감사할 일이다. 하지만 나의 말보다는 음악 자체가 이야기를 해주기 때문에 그것을 깊이 있게 느끼는 것이 더 중요한 것 같다. 클래식 음악이라는 것이 한 번 들어서 이해하기 어려울 경우도 있다. 하지만 들을 수록 그 감정이 마음 속에 다가올 수 있고 더욱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고 전달력 있는 연주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음악 자체만을 진지하게 들으라고 말해 주고 싶다.

그는 이번 주 클라이번협회와 함께 뉴욕을 방문한 후 콩쿨 전 미리 예정되었던 연주를 위해 곧바로 독일로 떠난다. 7월부터 본격적인 미주 투어가 시작되고 10월에는 포트워스에서 우승 기념 독주회를 가질 예정이다. 인생의 가장 화려한 조명을 받는 시간, 그가 남긴 것은 승리의 짜릿함이 아니라 음악의 위대함, 진실과 위로였다.

“평화로이 쉬어라, 모든 영혼이여/두려운 고통 다 겪고/달콤한 꿈도 끝난 영혼들/삶에 지쳐, 태어남이 없이/ 이 세상에서 떠나간 사람들/ 모든 영혼은 평화로이 쉬어라” (슈베르트 ‘위령가’ 중에서)

글 송혜영
피아니스트, 음악박사
웨더포드 칼리지 Artist in Residence

[제 15회 반클라이번 국제 피아노 콩쿠르] “형언할 수 없는 아름다움에로의 초대”

Filed under: Column — admin @ 6:10 pm

19388724_1256945347761256_1445921990861241655_o

지난 5월 25일 부터 포트워스 배스홀에서는 제 15회 반클라이번 국제 피아노 콩쿠르가 열리고 있다. 예선과 준준결선을 거쳐 김다솔, 선우예권, 김홍기 군이 12명이 선발되는 준결선 무대에 진출하였다. 한국인이 세 명이나 준결선에 진출한 것은 콩쿨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일 뿐더러 수준 높은 훌륭한 연주를 들려준 젊은 연주자들을 지켜보자니 기쁨과 대견함이 교차하지 않을 수 없다. 이에 자랑스러운 한국 연주자들과 더불어 주목받는 연주자들을 소개한다.

연주자 자신의 음악에 대한 경외와 기쁨을 고스란히 관객에게 전달하는 소통적 연주를 들려 준 김다솔 군은 모든 참가자에게 공통적으로 주어지는 위촉작품에서 도발적이고 창의적인 해석으로, 라벨의 ‘밤의 가스파르’에서는 완숙한 테크닉과 색채감으로 청중의 귀를 사로 잡았다. 로맨티시즘과 신비주의, 복잡한 화성과 재즈 스타일의 리듬 등 작곡가의 다면적 정신세계를 드러내는 스크리아빈 소나타 4번에서는 완벽하게 말의 고삐를 지배하는 명수의 노련함이 돋보이는 연주를 했다. 특히 심미적 구성력이 돋보인 쇼팽의 24개의 전주곡에서는 육체적 병약함과 감정적 소용돌이 너머 작곡가의 영혼을 투명하게 건져내었다. 음악적으로 재구성된 24개의 시공간은 바하의 전주곡과 푸가에서와 같이 전우주적이었고, 흡사 영육이 분리 공존하는 베에토벤 후기 소나타에서의 성스러움을 불러 일으켰다. 곡 사이에는 의도적 대조나 연결 보다는 무심한 말줄임표를 던지고 떠났다가, 이내 차가운 현실의 벽 너머 반복적으로 울리는 낮은 음을 따라 무릎을 꿇고 기도하는 곳으로 청중을 인도했다.

진지하고 심오한 예술성을 지니는 동시에 듣는 이를 완전히 설득해 버리는 연주를 하기란 얼마나 어려운 일인가. 특히 이십 대 초반의 혈기 넘치는 젊은 연주자라면. 23살 미국 피아니스트 케네스 브로버그는 이것을 가능케 하는 명연을 선사했다. 투명하고 생명력을 가진 음색과 매 순간을 반짝이고 전율하게 하는 창조적 모멘텀, 특히 하프시코드 음색을 흉내낸 것이 아닌 청중의 귀에서 스스로 상상해서 듣게 만드는 그의 바하는 신기한 마법과 같았다. 명징한 주제와 흩어졌던 퍼즐들이 모여 장관을 이루게 하는 탁월한 구성력은 모든 스타일의 곡에서 다이나믹과 리듬의 왜곡없이 극적 클라이맥스로 몰아가는 힘을 발휘했다.

실연에 함께 하지 못 해 아쉬웠지만 인터넷 중계를 통해 본 선우예권과 김홍기 군도 심사위원과 청중들에게 각인을 남긴 훌륭한 연주를 들려 주었다. 선우예권 군은 정제된 음악성, 흠잡을 곳 없이 조화로운 비율감, 극적으로 몰아치는 힘, 모든 곡에 있어 사려깊은 따뜻한 표현으로 감동을 선사했다. 김홍기 군은 뛰어난 테크닉과 아름다운 음색, 폭넓은 음악성을 지닌 연주를 들려 주었다. 특히 평소 콩쿠르에서 자주 연주되지 않는 라흐마니노프 소나타 1번을 연주하며 로맨티시즘의 실타래를 지극히 자연스러우면서도 극적으로 풀어내어 무궁무진한 장래성을 인정받았다. 실제로 한 청중은 팔 십 평생에 이 멋진 곡을 처음 들어보게 된다며 연주자에게 감사를 표현하기도 했다.

이번 참가자 중 가장 아름다운 음색의 연주자라고 할 만한 이탈리아의 레오나르도 피에르도메니코, 바하에서 쇼스타코비치에 이르기까지 정통성과 창의성을 겸비한 예술성의 경지를 들려준 중국의 유통 선, 18세의 최연소 참가자이자 심오하고 강렬한 연주를 한 캐나다의 토니 양, 명료하고 시적인 표현력의 홍콩의 레이첼 청 등도 역시 주목해야 할 연주자들이다.

대회 내내 모든 연주를 들었다는 한 노신사는 각 연주자들의 이름 옆에 자신만의 성적을 기록하고 있던 종이 한 장을 내게 내밀었다. 하지만 체조나 다이빙과 같이 눈에 보이는 것이 아닌 음악에 우열을 가린다는 것은 도무지 어렵다며 이내 곤란한 심정을 토로한다. 순수예술을 경쟁 구도에 놓는 모순적 폐해에도 불구하고, 국제무대에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을 제공받는 기회로서 콩쿨은 젊은 음악도에게 통과의례처럼 자리 잡고 있다. 하지만 콩쿨 결과 자체가 그들의 음악인생에 어떤 의미가 될런지는 그 누구도 장담할 수 없다. 정작 콩쿨은 함께하는 청중들에게 더 큰 선물을 선사하는 축제가 된다. 음악적 진실 앞에 자신을 내던진 이들 앞에서 우리는 어느새 누가 더 잘하느냐가 아니라 더 진실되고 더 아름다운 음악을 향해 귀를 활짝 열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휴머니즘의 본향을 향한 여정이 될 이 축제로의 초대장을 피아니스트 반클라이번의 말로 대신한다.

“위대한 클래식 음악에는 형언할 수 없는 아름다움에 관한 무언가가 존재합니다. 인간의 소통에 있어 표현될 수 없는 것입니다. 그것은 모든 것을 대신하고 우리에게 심오함을 주고 의식을 고양하며 희망을 줍니다.”

클라이번 콩쿨은 6월 10일까지 계속되며 포트워스 배스홀과 cliburn2017.medici.tv 를 통해 들을 수 있다.

글 송혜영
피아니스트, 음악박사
웨더포드 칼리지 Artist in Residence

January 18, 2017

[Star-Telegram, 1.6, 2017] WC’s Hyeyoung Song performs at Carnegie Hall

Filed under: News — admin @ 12:45 am

JANUARY 6, 2017 3:09 PM

WC’s Hyeyoung Song performs at Carnegie Hall

http://www.star-telegram.com/news/local/community/weatherford-star-telegram/wt-news/article125010904.html

Older Posts »

Powered by WordPress